본문 바로가기
이론 노트/머신러닝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란?

by 바크롱 2021. 10. 11.

머신러닝 개념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내용은 핸즈온 머신러닝 도서를 참고 했으며 머신러닝 관련된 주요 개념만 간략히 정리 했습니다.

 

Photo by Markus Winkler on Unsplash

1. 머신러닝이란?

  • 데이터로부터 학습하도록 컴퓨터를 프로그래밍하는 과학(또는 예술)
  • 명시적인 프로그래밍 없이 컴퓨터가 학습하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연구 분야
  • 데이터 마이닝 : 대용량의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겉으로 보이지 않는 패턴을 발견하는 머신러닝 기술

 

2. 머신러닝은 어느 분야에서 뛰어난가?

  • 기존 솔루션으로는 많은 수동 조정과 규칙이 필요한 문제
  •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전혀 해결 방법이 없는 문제

 

3. 머신러닝의 종류

  • 지도, 준지도, 비지도, 강화 학습 (사람의 감독 하에 훈련하는지 여부)
  • 온라인학습, 배치학습 (실시간으로 점진적인 학습을 하는지 여부)
  • 사례기반학습, 모델기반학습 (단순히 기존데이터와 새 데이터를 비교하는지 패턴을 발견해서 예측 모델을 만드는지 여부)

 

4. 주요 개념 정리

[지도학습과 비지도학습]

1)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 알고리즘에 주입하는 훈련데이터에 레이블 이라는 원하는 답이 포함되어 있는 문제를 학습해서 새로운 데이터 분류/예측

  • 분류(Classification) : 종속 변수의 Class가 범주형(Categorical) 변수 인 경우
  • 예측(Prediction) : 종속 변수의 Class가 연속형(Continuous) 변수 인 경우
  • 대표 알고리즘 : KNN, Linear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Support Vector Machine, Decision Tree, Random Forest, Neural Net

 

2)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 훈련 데이터에 레이블이 없는 문제를 시스템이 아무런 도움 없이 스스로 학습한 뒤 데이터 안에서 패턴을 발견

  • 대표 알고리즘 : K-means, Hierarchical Clustering, Expectation Maximization, PCA, Locally Linear Embedding, t-SNE, Apriori, Eclat

 

3) 준지도학습(Semisuperviese Learning) 

: 레이블이 없는 데이터는 많고 레이블이 있는 데이터는 조금인 케이스

  • 대표 알고리즘 : Deep belief network

 

4)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 환경을 관찰해서 행동을 실행하고 그 결과로 보상(또는 벌점)을 받는 과정을 거친다. 시간이 지나면서 가장 큰 보상을 얻기 위해 정책이라고 부르는 최상의 전략을 스스로 학습하는 과정

  • 사용 분야 : 보행 로봇에 사용되는 알고리즘, 알파고 프로그램

 

 

[배치학습과 온라인학습]

1) 배치학습(Batch Learning) 

: 시스템이 점진적으로 학습할 수 없는 케이스, 오프라인으로 시스템을 훈련시키고 제품 시스템에 적용시에는 학습한 것을 적용만 함

  • 장점 : 간단하고 잘 작동한다
  • 단점 : 매일 새롭게 훈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2) 온라인학습(Online Learning)

: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한 개씩 또는 미니배치(mini-batch)라 부르는 작은 묶은 단위로 주입하여 시스템을 훈련

  • 장점 : 매 학습 단계가 빠르고 비용이 적어 시스템은 데이터 도착 즉시 학습 가능
  • 학습률(Learning rate) : 변화하는 데이터에 대해 얼마나 빠르게 적응할 것인가를 결정해주는 파라미터

 

 

[사례기반과 모델 기반]

1) 사례기반학습(Instance Based Learning)

: 시스템이 사례를 기억함으로써 학습하고 유사도 측정을 사용해 새로운 데이터에 일반화

 

 

2) 모델기반학습(Model Based Learing)

: 샘플들의 모델을 만들어서 예측에 사용하는 방법

 

 

[과대적합과 과소적합]

1) 과대적합(Overfitting) 

: 훈련 데이터에는 너무 잘 맞지만 일반성이 떨어지는 케이스(훈련 데이터에 있는 잡음의 양에 비해 모델이 너무 복잡할때 발생)

 

- 해결 방법

  • 파라미터 수가 적은 모델 선택
  • 모델에 제약을 가한다
  • 훈련 데이터를 더 모은다
  • 훈련 데이터 잡음을 줄인다

- 규제(Regularization) : 모델을 단순하게 하고 과대적합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모델에 제약을 가하는 것

 

2) 과소적합(Underfitting) 

: 모델이 너무 단순해서 데이터의 내재된 구조를 학습하지 못할 때 발생

 

- 해결 방법

  • 파라미터 수가 더 많은 모델 선택
  • 학습 알고리즘에 더 좋은 변수 제공
  • 모델의 제약을 줄인다

 

[테스트와 검증]

1) 테스트와 검증(Test and Validation)

  • 일반화 오차(Generalization Error) : 새로운 샘플에 대한 오류 비율
  • 훈련 오차가 낮지만 일반화 오차가 크다면 해당 모형은 과대적합된 케이스
  • 훈련 세트에서 다양한 하이퍼 파라미터로 여러 모델을 훈련
  • 검증 세트에서 최상의 성능을 내는 모델과 하이퍼 파라미터를 선택
  • 만족스러운 모델을 찾은 뒤 일반화 오차의 추정값을 얻기 위해 테스트 셋으로 단 한번의 최종 테스트

 

2) 교차검증(Cross Validation)

  • 훈련 데이터에서 검증 세트로 너무 많은 양의 데이터를 뺏기지 않기 위해서 사용
  • 훈련 세트를 여러 서브셋으로 나누고 각 모델을 이 서브셋의 조합으로 훈련시키고 나머지 부분으로 검증
  • 모델과 하이퍼파라미터가 선택되면 전체 훈련 데이터를 사용해 선택한 하이퍼 파라미터로 최종 모델을 훈련 시키고 테스트 세트로 일반화 오차를 추정

댓글